ELI5라는것은

Explain Like I am 5

영미권에서는 태어나서부터 나이를 올리니까

우리나라나이로 6살 7살 이다.

나 5살인것 같이 설명하다.


당신이 5살이 되는방법

설명하는 사람은 5살이 아니지만

5살에게 알려주는방법


ELI5에서 숫자 5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4,3,2,1


숫자가 내려갈수록 신생아로 줄어들면서

그저 보여주기 들려주기로 바뀐다.


그리고 손에 쥐어줬을 때

입에 넣어도 되는지 안되는지


그래서

사업아이템


ELI5 에서 착안

6살, 7살이

입에 넣어도 되는것과

입에 넣으면 안되는것


우리나라사람들은 6살 7살이되면 입에 뭘 넣지않는다고 생각한다.

아이보다 어른들이 

앞으로 아이가 크면서 접할것이 입에 넣으면 되는지 

그들 기준으로 충분히 알려주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안정성 검증사업과 품질보증 사업


안정성을 검증하다

안정성을 입증하려면

나노스케일의 분자가 뭔지부터

원료를 어디서 얻고 무엇을 쓰는지

제조과정에서 무엇을 쓰는지

무엇으로

어떻게

뭘하는지

포장을 뭘로하는지

유통을 뭘로하는지

판매를 뭘로하는지


생산처음부터 소비자의 손끝까지 다 알아야한다.


그런것을 직접 하는사람이 있는가?


영어로는 QA라고하며

Quality Assurance

퀄리티 어슈어런스

품질 보증이라는 일을 한다.


어느정도 크기의 기업에서는 QA를 따로 둔다.

우리나라에서는 화학 IT 분야에서 이 용어를 크게 다루고

다른 분야에서는 크게 그 특수성을 부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QA를 가진 기업은

기업의 오너라고 하는 사람이

QA에게 사용품질보증을 전적으로 맡긴다.


대표도 사원도 자사 물건을 쓰는지 안쓰는지는

본인 마음이겠지만

QA부서가 있느냐 없느냐와

전적으로 맡기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서 달라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고대 선조부터 해오던 일들에 대해서는

써봤기때문에 품질을 알고 스스로 보증한다.


하지만 근대화를 겪으면서

처음접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직접 써보지 않았기때문에 품질을 보증하기 꺼려하고 어려워한다고 생각한다.


근대화 이후에 나온 것들은 다른나라의 것을 받아서 썼기때문에

저마다의 신뢰기준을 만족하는 다른나라의 기준을 받아서 그대로 쓴것이 대부분이다.

또는 있는 그대로 받아서 쓰기만 했을 수 있다.


QA 품질보증

만들때부터 사용하기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확인하고 따지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QA가 있지만 그 생산품을 생산자가 직접 쓰면서 품질을 보증하는 방법도 있다.


돌아가는 체계를

직접해보거나 만지거나 그것에 대해서 생각하다.

하던 일이 아닌것을 할 때


책임을 지는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QA라는 모든체계나

공정을 아는 어떤 사람이나 조직(그룹)이 있어서 

오너또는 최고경영자가 마음을 놓고 있는데


자금이나 공장의 또는 다른 규모가 다른기업에비해서

작거나 적은 곳에서는 

공장장이라는 사람이 있다.

모든 공정을 다 파악하고 어떻게 하면 돌아가는지 아는 사람

공장장이란 사람이 QA를 가지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돌아가는지 아는 사람이

지금까지의 방식으로 돌아가는것을 유지한다면

변화가 없는 정체된 공장이 될것이다. 


돌아가는것을 

사람이든 기계든 다른 무엇이든

그대로 두면 

어디가 뭐가 터지든지 터진다고 생각한다.

기계는 닦고 조이고 기름칠하고

소모품을 갈고 하지만

사람은 기계같이 같은일을 하면 

몸이 상한다.

사람몸은 밖으로 잘 보이지 않지만 

아파도 아픈것을 인지해도 내색을 잘 비추지 않는다.

저마다의 생각으로 그러한다.


새롭게 또는 조금의 변화로 더 잘 돌아가도록

끊임없이 생각하고 조금씩 바꿔보고


그대로 있는것보다 조금씩 바꾸며

드라마틱한 변화를 보이지않지만

변화를 보고

그 변화를 눈에서만 그러하게 소리로만 그러하게

보이는것이 아니라


사람 마음을 움직이는 무엇을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때로는 그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거나

때로는 지금까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당연히 알 것이라 생각했던것을 다시 보여주는 것



책임


생각


무한함


사고의 전개

사고의 확장 

사람의 다양성

틀에박힌 생각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소방 자전거  (0) 2017.10.19
정치보복, 적폐청산  (0) 2017.10.19
5G 커버리지 공공사업아이템  (0) 2017.10.18
nm(나노미터)  (0) 2017.10.18
SNS  (0) 2017.10.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