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때
교무실 청소를 하면서
과학선생님 두 분께
질문을 했다.

지구가 갑자기 멈추면
우리는 어떻게 되나요?

커서
지구가 서서히 멈추는
시나리오를 알 수 있었다

중학생 때에는
지구가 갑자기 멈추면
사람들이 우주로 날아가 버리는가?
지구의 중력으로
핵으로 사람들이 푹 들어가 버리는가?
정말 궁금하고 아직도 궁금하다.

지구는 자전을하고
자전축도
세차운동으로 바뀌며
태양을 공전하며
태양계는 은하를 돌고있다.

회전하는 물체는 중심을 잡는다.

축이 고정되어 있다면

정적이게된다.

세차운동을 하므로 생동감이 생겨난다.

지구의 자전이 멈추면

우리 은하의 한부분으로 돌고있고
안드로메다?와 가까워지고


세차운동을 하는 상황으로 보아

인간 개개인은 중력이 적으므로

다른 중력장에 급격히 빨려들어간다고 생각한다.

회전체의 회전력이 높을 수록
당기는 중력이 강력하다.

중력장이 강력하다.

중력의 이해는

90년대 쌍용그룹 광고를 보면

약간 이해 할 수 있다.

신뢰



오늘 날씨는 비가온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곰 천년  (0) 2017.07.15
둥근면 네모난 면  (0) 2017.07.15
정보화시대 청소년 보호  (0) 2017.07.14
오늘 맞춤법 교정  (0) 2017.07.13
응답하라 1997   (0) 2017.07.13
어릴 적 티브이를 보다가 
나오지 않는 채널을 넋을 놓고 본 적이 있다. 

내가 살았던 지역에는 
아날로그 티브이에서 대한민국에서 4개의 신호를 잡고 미국 채널 1개 정도 잡을 수 있었다. 

나중엔 NHK 전파도 잡혔고 경인방송 전파도 잡혔다. 

그 이외의 채널에는 찌직 소리와 함께 

아날로그 티브이를 본 사람은 알고 있을 
회색과 흰색 검은색의 물결치는 화면을 
보았다. 
어느 날은 그 화면을 틀어놓고 
소리를 많이 줄여두고 
하염없이 보고 있었다. 
왜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다. 

요즘은 디지털 방송시대라 
우주배경복사의 현상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기회가 없다. 

우주는 무질서한 에너지의 바다이다. 
그 가운데 
질서를 만들면 
그것이 전파와 조절 가능한 주파수이다. 

에너지의 바다에서 
가장 신비한 에너지가 빛 에너지이다.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또한 있음과 없음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또한, 원소의. 또한 원소의 중성자와 양성자의 이탈을 
만들 수 있다. 

원소를 낮은 번호의 원소로 바꿀 수 있다. 

질소를 탄소로 바꿀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질소분자는 아주 안전한 결합을 하며 

쪼개는 데에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며 중성자와 양성자의 이탈을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래서 자연에서는 아주 극소량 변화한다. 

하지만 그런 일이 발생한다. 

빛이 그 일을 하는 것이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 핵연료 처리  (0) 2017.06.26
글을 보고 아는 방법(한국어를 쓰는 사람) 의식의 흐름  (0) 2017.06.26
탐구  (0) 2017.06.24
한국  (0) 2017.06.23
영재발굴단  (0) 2017.06.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