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로만 따지면
끼니당
식재료의 가격만 보는 사람도 있고
+만드는 사람의 인건비를 보는 사람이 있고
+식품 연구개발의 분야로 보는 사람도 있고
+식품조리를 위한 시설물과 가스 전기 물 세척 등등의 부담하여 보는 사람도 있고
+인력의 한계와 분배와 담당업무를 보는 사람도 있고
+등등
위에 +로 붙인 것을 생각하기도 그렇지 않기도 한다.
필자는 담당자가 아니여서 잘 모르겠다.
위에 언급한 내용은
왜 내가 그런생각을 해야하는데 라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이 글은 필자의 글이므로 필자의 마음대로 써놓았다.
질문이 있다면 대답도 하는것이므로
먹는사람은 만들어진 과정을 잊고 먹을 수 있다.
내 입에만 맞으면 그만이니까.
대한민국 육군 훈련소를 가 보면 처음 입소한 군인들에게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음식임을 알려주는 시간이 있다.
그 발원을 잊지않는 것이다.
내가 먹는 음식이 어떤절차를 거쳐서 만들어지는지 세세한 내막은 몰라도
거시적으로 이해하고 만들 수 있도록 고생해준 사람도 있다는 것을
알아주면 좋겠다.
뷔페식으로 밥을 주는곳이 있다면
개인마다 식사량이 다르다.
일률적으로 한번에 많이 조리하면 음식물의 양을 늘리는 효율은 오르겠으나
그 분배를 자율로 하면 부족할 수 있다.
그럼 못먹은 사람이 있어서 대체음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사람의 일을 쪼개고 쪼개어서 그 전담인력이 그 일만 하는 부류도 있고
그 인원이 그 일만하고 쉬는 부류도 있고
자발적으로 부수적인 일을 하는 부류도 있고
내 일이 아니므로 하지 않는 부류도 있다
없다고는 말 못하겠다.
여러분야에 여러 사람들이 살고있으니까
돈을 감당하는 당사자가 된다면
단지 먹는것을 생각할 때
기준을 무엇으로 두느냐에 따라서 그 측정 금액이 다르다.
누군가가 만들어준 음식을 먹는것에만 익숙하면
만드는걸 잠시 잊기도 할 수 있다.
개그맨 장동민씨의 유행어 처럼
그까이꺼 대~충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없다고는 말 못하겠다)
만들어본 사람이라면 그 과정이 보는것만큼 쉽지만은 않다는걸 알 것이다.
대~충 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여러 부류가 있을 수 있는데
정말 잘하는 사람이라서 손에 익은것이라 대~충 이라는 사람도 있고
보기에 쉬워보여서 대~충 이라고 지레 짐작하는 사람도 있고
대~충 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어서
따라서 대~충 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없다는 법은 없다.
그래서 세상엔 상상하지 못한 여러 사람들이 살고있다.
그래서 결론은
끼니와 밥
만들어 먹는것에는 여러 사람들과 여러 생각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항상 부족한 사람임을 잊지 않는다.
무심코 던진 돌맹이에 개구리가 어떻게 될 수 있음을 잊지 않는다.
생각
무한함
뜬금없지만
감사한 마음이다.
우리네 어무이들요 고맙심더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0) | 2018.01.28 |
---|---|
미국의 차고와 한국의 00 빌게이츠의 이야기 (0) | 2018.01.28 |
전기를 불로 봐야합니까? (0) | 2018.01.27 |
키워드 (0) | 2018.01.27 |
색상과 애플과 마이크로 소프트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