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언어는
3차원 좌표로 가기위한
좌표언어다.


X와Y와Z축을 가진다.

기존언어는 2차원적이었다면

고 언어는
3차원이다.

2차원을 X와Y축으로
더하기와 빼기 곱하기 나누기만
한다면 3차원을 만들 수 없다.
Z축을 넣어야한다.


2차원의 모든 컴파일을Z축의 1로 생성하면
더 넓은 컴파일링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각각 흩어진 2차원 컴파일링들을
Z의 1에 띄엄띄엄 나눠놓을 수 밖에 없다.
서울 한 복판에서
와이파이 시그널 그래프를 3차원으로 바꿔놓은 모습일 것이다.

왜냐하면 각자도생으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컴파일의 공통점(활용점)을 모아서
3차원의 한 지점에 도착하여야한다

지금까지의 언어가
2차원이었다면
X축과 Y축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진 Z축들의
컴파일 모임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좌표를 찾아야한다.

그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많은 프로그래머가 하는 일이라 생각한다.

정 육면체를 생각해보면

X와Y의 최대치와 Z축의
최대치가 만나는 점이다.

사람은 개개인마다 취향이 다르기때문에

많은 부분 직육면체의
목표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존엄하다.
가정으로
사람이 컴파일의 삶으로 빗대어 표현하자면

세상에서
가장 큰 정육면체를 지향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태생적 한계가 있다.
컴퓨터는 0과1의 도트이다.

벡터는 도트의 개념이 아니다.

선의 개념이라 생각한다.

선의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구글이 이것을 알고
고 언어를 사용한 것인가


Z축의 세상을 열다

누군가는 그러겠죠
정육면체는 모가 났으니
별로라고
그럼 1/8구의 모습으로 발전하는것이
이상적이겠지요

컴파일을 양의좌표로 생각한다면

좌표는 마이너스 영역도 있으므로
음의 좌표의 컴파일도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학엔 복소수 허수 개념도 존재하므로
그것 또한
컴파일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생각한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발전  (0) 2017.07.17
4차 산업혁명  (0) 2017.07.17
2사단 분교대 통신대 아저씨  (0) 2017.07.16
나는 강원도 물이 참 좋다  (0) 2017.07.15
대대장차 운전병  (0) 2017.07.15
좋다는 것을 정의하자

사람의 기호 문제다.

네모면이 좋을 수 있고

둥근 면이 좋을 수 있다.


냄비에 잘 넣기 위해서
배려해주다
라고 생각할 수 있다.

네모면이면 나쁜가?
아니다.

많은 이들이 잘 먹을 수 있다.

모든 음식은
재료에서부터
내 자식이
내 사람이
먹을 것을 생각하고 만들겠죠

만약
그렇지 아니하다고
가정한다면

냄비에 넣기 좋은
둥근 면이 무슨 소용이겠는가?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  (0) 2017.07.15
한곰 천년  (0) 2017.07.15
중학교 교무실 청소 때 있었던 일  (0) 2017.07.15
정보화시대 청소년 보호  (0) 2017.07.14
오늘 맞춤법 교정  (0) 2017.07.13
빵은 
물 밀가루 소금 효모 

눈에 보이는 

기본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물 

밀 

소금 

효모 


공장에서 찍어내는 빵에서 

수제 빵까지 


저것이 없이 빵이 되기 참 어렵다. 


저기에 추가적인 설탕 우유 달걀 등등 
버터 치즈 베리 고구마 등등 


이 이야기를 왜 하는가?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무슨 빵을 먹는가? 

왜 먹는가? 

'안' 먹는 빵은 왜 안 먹나? 

없어서 못 먹나? 

있어도 안 먹나? 



본인 소유의 

가게에서 만든 빵을 

제빵사가 만든 빵을 직원이 만든 빵을 

어머니가 또는 아버지가 
또는 자식이 만든 빵을 
할머니 할아버지 
이모 삼촌이 만든 빵을 

공장에서 만드는 빵을 

'안' 먹어보는 주인이 있을까? 

상식적으로 글쎄…. '안' 먹는다면 왜 안 먹나? 


'못' 먹나? 

왜 못 먹나? 

가게주인이 돈이 없어서 못 먹나? 


다른 이유가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혹시 몸에 문제가 있어 

먹으면 즉시 생명의 위협이 생기는가? 

??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글을 읽은 독자분들께서 

이거 뭐야 별 쓸모 없잖아 

할 수 있고 

읽지 않는 분들도 있고 

와 이거 참 괜찮네 하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탁기  (0) 2017.07.13
인공지능  (0) 2017.07.12
마음을 다시 돌리는 방법  (0) 2017.07.12
propane  (0) 2017.07.10
어느날  (0) 2017.07.10
전자 삼성 
화학 한화 
사람 두산 
자동차 현대 

전자+화학 LG(럭키, 금성) 

나는 
각 분야에서 
특출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선택과 집중이란 방법이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장점은 몰두하기 쉽고 
단점은 몰두하면 막히는 부분이 생긴다는 것이다. 

D램 반도체 전자분야 세계 탑인 삼성전자 
7nm 공정에서 정체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화학 분야를 한화에 매각했다. 

(화학) 분야를 왜? 또한, 하드디스크와 CD 분야 TSST를 떼어내듯.(광학)

..............

왜?
...

왜그러지..

누가 시킨것인가?

공정 고도화를 위해서
다 필요한건데..

쩝..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배경복사 에너지  (0) 2017.06.25
탐구  (0) 2017.06.24
영재발굴단  (0) 2017.06.21
청소년에게 말한다.청소년 상담  (0) 2017.06.20
어른들에게 말한다. 청소년 상담  (0) 2017.06.20
우준이란 아이를 봤다

내가 생각했던 바로 그 아이였다.

왜 왜 왜

끝없이 질문할 때

지식(책,유튜브)이 아닌 공감해줄 사람이 필요했던 아이

지금이라도 상담을 받아서 우준이가 집에서 행복 할 수 있어 다행이다.

크면서 그 탐구정신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우준이 같은 아이가 있기에
한국에도 기초과학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다고 확신한다.

다만 강압적인 환경이 아닌
자유로운 뜻으로 연구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작은 바람이라면
대한민국에서
각 나눠진 과학분야가 아닌 융합과학 분야에서 특출난 재능을 나타내는 인재들이 나올 수 있다면 참 좋겠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부모님들께
아이가 또래랑 다르다면
이상한 것이 아니고 엄청난 재능을 가진 세계적인 위인이 될 수 있는 아이이므로
걱정보다는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세요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구  (0) 2017.06.24
한국  (0) 2017.06.23
청소년에게 말한다.청소년 상담  (0) 2017.06.20
어른들에게 말한다. 청소년 상담  (0) 2017.06.20
보안2(2017.06.25감사의 표현 추가)  (0) 2017.06.19

+ Recent posts